아는기자, 정치부 이현수 기자와 함께합니다.
Q. 오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청와대 이전 후보지 두 곳, 외교부 청사와 국방부 청사를 모두 둘러봤잖아요. 내일 기자회견을 한다고 조금 전 속보가 들어왔는데 이전 대상지를 발표하는건가요?
네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윤 당선인의 내일 오전 기자회견, 약 30분 전에 공지됐는데요.
윤석열 당선인 오늘 오전 11시부터 약 2시간 동안 외교부 청사와 국방부 청사를 직접 둘러봤습니다.
오후 3시즘 윤 당선인 인수위 사무실에서 오세훈 서울시장 등과 관련 논의를 한 뒤 오후 6시쯤 자리를 떴습니다.
그리고 곧바로 기자회견 공지가 나왔기 때문에 윤 당선인이 입장을 정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인수위 내부적으로는 사실상 용산 국방부 청사로 낙점을 한 것 아닌가요?
용산이 유력하긴 하지만 막판까지 고민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답사 장면에 힌트가 있을 것 같은데요.
당선인 측에서 공개한 답사 모습을 보면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보이고요.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김병준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도 동행했거든요.
용산시대를 열겠다는 당선인의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최근 반대 여론이 심상치 않자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위해 대선 때부터 함께했던 원로들과 함께 돌아보며 자문을 구한 것으로 보입니다.
당선인이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직접 '함께 가자'고 제안했다고 하는데요.
국민의힘 내부 의견도 두루 들어보겠다는 취지에서입니다.
Q. 사실 용산은 대선 때 언급되던 지역이 아니잖아요.
오늘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이 어떤 부분을 중점으로 봤는지 평가 포인트를 언급했는데요.
어느 곳이 국민 소통의 장으로 적합한지 국가안보 수호를 위한 최적지인지 국민에게 주는 일상의 불편은 없을지 참모나 전문가들과 격의 없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인지 이렇게 네 가지를 꼽았습니다.
당선인 측 관계자들은 이 요건에 용산이 더 맞다고 입을 모읍니다.
윤석열 당선인 후보 시절 이런 말을 했는데요.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지난 1월)
"기존 청와대 부지는 국민께 돌려드릴 것입니다. 국민은 늘 대통령 만날 수 있고, 대통령도 늘 소통하며 일할 것입니다. 다음정부는 임기 첫날부터 새로운 공간, 새 방식으로 국정 시작할 것입니다."
광화문 외교부 청사와 비교해서 용산 국방부 청사는 국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소통할 수 있는 곳이란 점을 꼽는데요.
용산에 공원이 조성되며 자연스럽게 국민들과 소통할 수 있다고 보고 있고요.
지하 벙커 활용 등 경호나 비용 문제에서도 외교부 청사보다는 낫다고 보고 있고요.
Q. 시청자 질문이 있는데요. 공약을 지키는 것도 좋지만 굳이 옮겨야 하냐, 현실적인 문제가 너무 많은 것 아니냐 이런 질문을 주셨어요.
청와대 이전 자체에 대한 당선인의 의지는 확고한데요.
[김은혜 /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지난 16일)
"기존 청와대로 윤석열 당선인이 들어갈 가능성은 제로입니다"
[김은혜 /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어제)
"저희가 봄꽃 지기 전에는 국민여러분들께 청와대 돌려드리고…"
내부에서는 당선 직후가 아니고는 할 수 없는 일이다, 시간이 지나면 동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나오거든요.
다만 국방부 청사로 결정하면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고 한 공약 원안에서 달라진다는 점, 급하게 진행되면 졸속이란 프레임이 씌워진다는 점 등은 내부적으로도 우려하는 부분입니다.
Q.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신중론이 나온다고요?
오는 6월에 전국 단위의 지방선거를 치러야하는 국민의힘은 여론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데요.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은 자신의 소통 플랫폼에서 "건물이 아니라 사람이 문제"라고 쓰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단계적 이전 방안, 절충안도 제기됩니다.
'용산시대'를 먼저 선언 하고 임시로 광화문 정부청사나 외교부청사에 머물렀다가 국방부가 원만하게 이전한 뒤에 용산 국방부 청사로 옮기자는 겁니다.
윤희숙 국민의힘 전 의원은 "새로 성곽을 쌓을 생각을 하기 보다 기존의 성곽을 허무는게 어떠냐"면서 청와대 리모델링론을 언급하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이 역시도 당선인 측에서는 비용만 더 발생하고 논란만 지속된다며 일단 선을 긋고 있습니다.
윤석열 당선인이 용산시대를 연다는 결단을 그대로 발표할지, 발표한다면 어떻게 국민들의 이해를 구할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지금까지 정치부 이현수 기자였습니다.